[전주 한달살기 6편]
현지인처럼 살아보기 – 시장, 상점, 동네 탐방 가이드
관광객이 아닌, 전주시민처럼 살아보는 한 달의 비밀
전주는 단순한 여행지가 아니다. 이곳에서 한 달을 살아본다는 건, 전주의 골목과 시장, 슈퍼마켓, 동네 카페에서 살아 숨 쉬는 일상을 마주하는 것이다. 관광지를 벗어나 진짜 전주 사람들의 생활을 들여다보고 싶은 이들을 위한 상세 가이드를 준비했다.
1. 전통시장에서 장을 보는 일상 – 풍남시장 & 남부시장
풍남시장
한옥마을 인근에 위치한 전통시장으로, 채소, 생선, 과일, 건어물, 반찬 등 생필품이 골고루 모여 있다. 가격도 저렴하고 상인들도 친절해서 한 달 살이 도중 장을 보러 가기에 딱 좋은 곳이다.
-
위치: 완산구 전동3가
-
운영시간: 오전 9시~오후 8시
-
꿀팁: 이른 아침 방문하면 신선한 재료 확보 가능
남부시장
야시장으로 유명하지만, 낮 시간대에도 식재료와 생활용품 구매가 가능하다. 특히 ‘청년몰’에는 감성 카페, 소규모 공방, 수제 디저트 가게가 많아 일상 속 소소한 즐거움을 찾기 좋다.
-
위치: 완산구 풍남동3가
-
청년몰은 오후 1시 이후 방문 추천
2. 생활형 마트와 슈퍼 – 지역민들의 장바구니 들여다보기
관광지 주변 대형마트도 좋지만, 동네 마트를 이용하면 더 합리적이고 지역색 있는 소비가 가능하다. 아래는 전주에서 한 달 살이 중 자주 이용할 수 있는 마트 목록이다.
-
하나로마트 전주본점 – 신선식품과 생활용품이 다양
-
롯데마트 전주점 –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접근성 좋음
-
홈플러스 전주완산점 – 넓고 쾌적, 행사도 자주 열림
-
지역 중형마트 (초이스마트, 백제마트 등) – 가격대 합리적, 동네 밀착형
3. 현지인들이 사랑하는 ‘동네 가게’들
동네 빵집
프랜차이즈보다 오히려 인기 있는 로컬 베이커리들이 많다. 예를 들어, ‘성심당 베이커리 전주점’이나 ‘밀빵’은 전주 사람들도 줄 서는 빵집이다.
로컬 정육점 & 반찬가게
대형마트보다 품질 좋은 고기를 구입할 수 있는 정육점도 많다. 특히 한옥마을 뒷길, 효자동 쪽에는 반찬가게들이 다수 위치해있어 자취 또는 소규모 가족 단위 한달살기에 유용하다.
4. 로컬 카페와 단골 만들기 좋은 곳들
전주에는 감성적인 카페가 많지만, 매일 찾을 수 있는 조용하고 편안한 카페가 한 달 살이 중엔 더 유용하다. 전주 주민들이 ‘작업용 카페’나 ‘단골 카페’로 찾는 곳을 정리했다.
-
카페 온도 (효자동) – 조용한 분위기와 친절한 바리스타
-
노메이드커피 (서노송) – 디지털노마드에게 인기, 와이파이 속도 우수
-
무경 (덕진연못 근처) – 자연뷰 감상 가능, 휴식용 카페
5. 전주의 동네 탐방 – 골목길과 작은 상점들의 매력
서학동 예술마을
한옥마을에서 도보 10분 거리, 조용한 골목 속 갤러리, 공방, 소형 상점이 어우러진 공간이다. 감성적인 산책 코스로 적합하고, 소소한 예술 소품을 구입할 수 있다.
삼천동, 효자동
이 지역은 전주의 주거지역으로 실제 전주시민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장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. 독립 서점, 지역 카페, 동네 공원이 잘 발달되어 있어 가볍게 산책하거나 작업하러 가기 좋다.
마무리: 여행에서 ‘삶’으로 전환하는 시간
전주에서의 한 달은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, ‘관광객의 시선’에서 ‘주민의 시선’으로 바뀌는 특별한 경험이다. 매일 가는 시장, 단골 카페, 나만의 산책로가 생기는 순간, 당신은 이미 전주 사람이다. 한 달이라는 시간 속에 진짜 전주를 담아보자.
다음 7편에서는 전주의 자연과 함께 힐링할 수 있는 산책로, 공원, 하천길 등을 중심으로 자연친화적인 전주 한달살기 루트를 소개할 예정이다. 꾸준히 이어지는 시리즈를 기대해도 좋다.